본문 바로가기
일상생활

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, 헷갈린다면 이 글 하나로 완벽정리해보세요!

by 쁑쁑쓰 2025. 5. 1.
728x90
반응형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요즘 물가도 오르고 생활비는 줄줄 새는데, 정부에서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이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 바로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이에요. 두 가지 모두 ‘장려금’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어서 비슷해 보이지만, 지원 대상과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구분해서 신청해야 해요.

매년 신청 시기가 되면 헷갈려서 놓치거나, 받을 수 있는 조건인데도 그냥 넘어가는 분들이 많더라고요. 오늘은 이 두 장려금이 무엇이고, 어떤 차이가 있는지, 그리고 내가 해당되는지 간단하게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해봤어요. 특히 2025년 기준으로 정리했으니, 올해 꼭 놓치지 말고 챙겨가세요!

 

 

 

 

 

 

근로장려금이란?

근로장려금은 말 그대로 ‘일하는 사람’을 위한 지원이에요.

일을 하고 있지만 소득이 적어서 생활이 빠듯한 가구에게 근로 의욕을 높이기 위해 현금으로 지급하는 제도예요.

- 신청 자격: 근로·사업·종교인 소득이 있는 사람
- 가구 기준: 단독/홑벌이/맞벌이 구분
- 재산 기준: 가구원 합산 2.4억 원 미만
- 총소득 기준: 가구 형태에 따라 다름 (아래 표 참고)

 

 

 

 

 

자녀장려금이란?

자녀장려금은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가구에게 지급되는 지원금이에요.

자녀 양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제도죠. 근로장려금과 유사하지만, ‘자녀 유무’가 가장 큰 기준이에요.

- 신청 자격: 18세 미만(2024년 기준 2007년 이후 출생)의 자녀가 있는 가구
- 소득 기준: 총소득이 부부합산 7천만 원 이하
- 재산 기준: 가구원 합산 2.4억 원 미만

 

 

 

 

 

근로장려금 vs 자녀장려금 – 핵심 차이 비교

구분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
지원 목적 저소득 근로자 소득 보전 자녀 양육 부담 완화
자녀 유무 조건 무관 필수 (18세 미만)
소득 조건 가구 형태별 기준 적용 부부합산 7천만 원 이하
지급 금액 최대 330만 원 자녀 1명당 최대 80만 원

 

 

 

 

 

소득 기준은 어떻게 계산될까?

총소득은 세전 연 소득 기준이며, 가구 형태에 따라 달라집니다.

아래는 2025년 기준 예상 소득 기준입니다. (실제 기준은 국세청 공고 확인 필요)

- 단독 가구: 약 2,200만 원 이하
- 홑벌이 가구: 약 3,200만 원 이하
- 맞벌이 가구: 약 3,800만 원 이하

 

 

 

 

 

신청은 언제? 어떻게?

장려금은 매년 5월에 정기신청이 가능하고, 일부 대상자는 반기신청도 할 수 있어요.

- 정기신청: 5월 1일 ~ 5월 31일
- 반기신청: 상반기 9월 / 하반기 3월

신청 방법도 간단해요.
- 국세청 홈택스 (PC)
- 손택스 (모바일 앱)
- 가까운 세무서 방문

 

 

 

 

 

Q&A

Q.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,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?
A. 네, 자격 요건을 모두 충족한다면 동시에 수령 가능합니다.

Q. 자녀가 고등학생인데 받을 수 있을까요?
A. 만 18세 미만(연도 기준)이어야 하므로, 생년 확인이 필요합니다.

Q. 프리랜서도 근로장려금 받을 수 있나요?
A. 네, 사업소득자로 등록되어 있다면 신청 가능해요.

Q. 재산 기준은 어떻게 보나요?
A. 주택, 자동차, 금융자산 등을 포함해 가구원 전체 합산 기준으로 2.4억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내가 받을 수 있는 장려금, 꼼꼼히 확인하세요

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은 단순히 '소득이 낮다'고 받는 것이 아니라, 각자의 상황에 맞는 기준을 충족해야 지급돼요. 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자신이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몰라서 놓치고 계시더라고요.

매년 수천억 원 규모로 지급되는 장려금 제도는 정부가 일하는 국민과 양육하는 가정을 응원하는 제도입니다. 그러니 ‘나랑은 상관없을 것 같아’라는 생각보다, 홈택스나 손택스를 통해 조회해보고 간단하게 신청해보세요.

2025년에는 놓치지 말고 꼭 챙겨보세요. 내가 신청하지 않으면 아무도 대신해주지 않는 ‘내 권리’니까요!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